Visual Studio나 Visual Studio Code를 주로 사용하는 작업 환경에 있어서 이러한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를 통해서 작성한 스크립트 패키지를 빌드합니다.
빌드는 컴파일(Compile)과 링크(Link)를 합쳐서 부르는 용어
컴파일이란 작성한 소스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하는 작업
일반적으로 컴파일의 결과는 .exe 파일로 나타나는데, 어셈블리어로 작성한 asm 파일의 경우에는 컴파일의 결과가 exe 파일이 아닌 obj 파일입니다.
* 어셈블리어: 0과 1로 구성되어 있는 기계어를 사람이 작성해서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은 너무나 어려운 일입니다. 그래서 사람이 이해하기 수월한 언어로 작성하되, 기계어와 대응될 수 있도록 사용 가능한 언어가 어셈블리어입니다. 그 이유는 다수의 asm 파일을 하나의 exe 파일로 합치는 작업이 꽤나 불편한 작업이기 때문인데, 그래서 먼저 각각의 asm 파일에 대응되는 obj 파일을 컴파일을 통해서 생성한 이후에 다수의 obj 파일을 연결시켜서 궁극적으로 목표했던 exe 파일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 때, obj 파일들을 연결해서 하나의 exe 파일을 만드는 작업을 링크라고 부르고, 이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링커라고 합니다.

이렇게 각각의 컴파일과 링크 작업으로 생성되는 최종 exe 파일의 생성 작업을 통칭해서 빌드라고 합니다.
https://datalibrary.tistory.com/23
빌드(Build)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빌드(Build)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프로그램을 만들고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을 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빌드라는 말을 들어봤을 가능성이 높고 설
datalibrary.tistory.com
1.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Build
일반적으로 빌드란 소스코드 파일을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는 독립적인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과 그 결과를 말한다고 합니다.
예를들어 간단히 자바프로젝트를 만들어 진행하게 된다면, 그안에는 우리가 작성한 소스코드.java와 여러가지 정적 파일등에 해당하는 resource가 존재합니다. 빌드를 진행한다면, 소스코드를 compile하여 .class로 변환하고, resource를 .class에서 참조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로 옮기고, 추가적으로 META-INF와 MANIFEST.MF 들을 하나로 묶는(압축) 과정을 의미합니다.
컴파일이란?
- 컴파일이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꾸어주는 과정을 의미한다. 결과물로 목적파일이 생겨난다
- Java의 경우 컴파일의 결과로 JVM에서 실행가능한 ".class" 파일이 생겨난다.
즉 컴파일은 build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나의 task입니다.
컴파일이란?
'co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변수명 규칙 + 함수 앞에 언더바를 붙이는 이유 (0) | 2022.04.22 |
|---|---|
| [html/css] 글자수 넘어가면 말줄임표 / 원하는 만큼의 줄만 보이게 하기 (0) | 2022.04.22 |
| form 전송과 ajax 전송의 차이 (0) | 2022.03.23 |
| SVN 기초 및 참고 링크 (0) | 2022.03.22 |
| PRG 패턴 (Post-Redirect-Get) Post 중복처리 문제 해결 패턴 (0) | 2022.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