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ing 215

export 'useHistory' (imported as 'useHistory') was not found in 'react-redux'

ERROR in ./src/components/Header.jsx 16:16-26 export 'useHistory' (imported as 'useHistory') was not found in 'react-redux' (possible exports: Provider, ReactReduxContext, batch, connect, createDispatchHook, createSelectorHook, createStoreHook, shallowEqual, useDispatch, useSelector, useStore) https://velog.io/@gaheekim610/Attempted-import-error-useHistory-is-not-exported-from-react-router-dom A..

coding/React & Next 2022.10.14

네트워크의 역사

현대의 네트워크 원형은 1960년대~1970년대에 걸쳐 미국에서 연구되고 개발되었음. 60년대에는 한 대의 대형 컴퓨터(main frame)의 처리를 짧은 시간으로 나누어서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TSS(time sharing system) 방식으로 컴퓨터를 이용했음.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는 TTS는 단말(terminal, 네트워크의 끝에서 정보 입출력을 수행하는 기기를 말함. TTS 단말은 문자입력, 이미지 출력만 가능했음)에서 대형 컴퓨터에 전화를 걸어 접속한 뒤 마치 이를 전용 컴퓨터처럼 취급했다. TTS를 이용함에 짜라 대형 컴퓨터와 TTS 단말기 두 대로 구성된 가장 간단한 네트워크가 만들어졌고, 이 것이 네트워크의 시작이다! 출처: 미야타 히로시,『책 그림으로 공부하는 TCP/IP 구조』, 김모세..

coding/network 2022.10.11

[PrivateRouter] is not a <Route> component. All component children of <Routes> must be a <Route> or <React.Fragment>

유튜브 보면서 하다가 본 에러. 유튜브 영상이 과거에 만들어진 것 같아서 난 오류 같다고 생각했었다. (아 글구! 에러창에는 파일명으로 PrivateRoute라고 다들 쓰더라.. 유튜브에서는 Router로 했던데, 나도 수정해야겠음.) 찾아보기 시작. 내용을 대략 살펴보니, 해당 에러 검색창의 상단 3개 정도는 Navigate, Outlet 를 사용해서 해결한 듯 했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0608889/uncaught-error-privateroute-is-not-a-route-component-all-component-childre?rq=1 Uncaught Error: [PrivateRoute] is not a component. All component..

coding/React & Next 2022.10.11

React Router

// This is a React Router v6 app import { BrowserRouter, Routes, Route, Link } from "react-router-dom"; function App() { return ( ); } function Users() { return ( My Profile ); } 리액트는 SPA (Single Page Application) 방식이다. 기존 웹 페이지 처럼(MPA, Multiple Page Application 방식) 여러개의 페이지를 사용해서, 새로운 페이지를 로드하는 방식이 아니다! React-Router는 신규 페이지를 불러오지 않는 상황에서 각각의 url에 따라 선택된 데이터를 하나의 페이지에서 렌더링 해주는 라이브러리 라고 볼 수 있다! h..

coding/React & Next 2022.09.26

컴퓨터 내부 구조

비트의 특성과 특성을 활용하는 방법은 1장에서, 2장과 3장에서는 비트를 사용하는 이유와 이를 하드웨어로 구현하는 방법, 기본적인 전자 부품과 이를 조합하는 방법을 배움. 전자 부품을 다양하데 조합해 비트를 조작하는 회로를 컴퓨터라고 함. 현대적 컴퓨터는 메모리(기억장치), 입출력, cpu 세가지로 나눌 수 있음. 컴퓨터가 조작할 비트를 저장하는 장소 : 메모리 메모리는 집이 빈틈없이 늘어선 거리와 같다. 모든 집의 크기는 똑같고, 모든 집에는 정해진 개수만큼 비트를 저장할 수 있는 방이 있음. 집에는 주소도 부여됨. 각 집마다 1바이트를 저장한다고 되어있음. 각 바이트에는 0부터 컴퓨터 메모리 크기 수 만큼의 주소가 붙어있음. 3 메모리 길 처럼 구체적인 주소에 있는 메모리를 가리킬 때 멤 한권으로 읽..

coding/CS 2022.09.26

Git Clone & Git Pull 차이

Git Clone & Git Pull 차이 git clone과 git pull 둘 다 원격저장소에서 로컬저장소로 가져오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git clone은 local에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원격저장소의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git pull은 local에 이미 있고, 원격저장소의 수정상태를 반영하기 위해 하는 것 입니다. 항상 수정 전 git pull 잊지 않기. https://mminky.tistory.com/39 git clone과 git pull의 차이는 내가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느냐 아니냐로 갈리는 것 같다. git clone의 경우 해당 repository를 통째로 다운 받는 개념으로 내 컴퓨터에 해당 프로젝트의 폴더를 새롭게 생성을 하는데, git pull..

coding/git 2022.09.25

메모리 조직과 주소 지정

비트를 기억할 때 플립플롭이 유용, 레지스터를 이용하면 쉽게 여러 비트를 저장할 수 있다. 더 많은 정보를 저장하려면 레지스터를 더 많이 써야 된다. 레지스터를 많이 쓰면? 어떤 레지스터를 쓸지 어떻게 지정하는가? 그건 각 레지스터에 번호를 지정하는 것이다. 이것을 주소라고 함! 디코더 방식으로 번호 부여, 디코더의 출력은 입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사용하는데, 지정한 주소에 해당하는 레지스터 출력은 셀렉터로 구현. 시스템에서 여러 메모리 컴포넌트의 출력을 한 출력으로 연결해야 한다면 트라이스테이트 출력이라는 기본 요소가 필요함. 이것을 합쳐 메모리 회로를 만듬. 메모리 컴포넌트는 연결지점이 매우 많음. 32비트 수를 다루려면 입력과 출력을 각 32개씩 연결해야하고, 주소, 제어 신호, 전원도 연결해야 함...

coding/CS 2022.09.21

비트를 처리하기 위한 하드웨어 (1), 릴레이 설명

릴레이 전기가 컴퓨터에 필요한 동력을 공급하는 데 쓰이기 시작한 것은 전기가 발명된 지 얼마 되지 않아서였다. 전기와 자기 사이에는 편리한 관계가 있는데, 선을 둥글게 감아 코일로 만들고 전기를 흘려보내면 코일이 전자석이 된다. 전자석은 끄고 켤 수가 있기에 물건을 움직일 때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전자석을 통해 수도 벨브도 제어할 수 있는데, 전기로 움직이는 자동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바로 이런 식으로 작동된다. 전자기를 이용해 모터를 많드는 교묘한 방법은 여러 개가 있다. 그리고 선으로 만든 코일 주변에서 자석을 움직이면 전기가 생긴다! > 발전기는 이렇게 작동한다. 우리가 현재 얻는 전기는 대부분 이렇게 얻어진다. 이런 식으로 놀고 싶으면, 자석에 공급되는 전기를 끄는 것이 코일 근처에서 자석을 아주..

coding/CS 2022.09.17

하드웨어에서 크기가 중요한 이유

전기는 빛의 속도로 움직이며 빛의 속도는 초당 3억 미터다. 이런 물리적인 한계를 뛰어넘는 방법은 아직 발견하지 못했으니, 부품을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켜야 좋다. 또 하드웨어를 작게 만들면 필요한 에너지 양도 줄어들어 전력을 적게 소모하고, 열이 적게 발생한다! 다만 물체를 너무 작게 만들면, 서로 간섭하기가 아주 쉬워진다.(양자역학의 단계) 아날로그 장치(연속적 장치)는 정확하게 읽으려면 흔들림이 없어야 함. 갑자기 세어나온 우주선 방사만 있어도(원자의 운동 단위), 계량컵의 수치를 정확히 재기 힘들다. 하지만 이산적인 단위는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 왜냐? 판정 기준이 있기 때문이다! 수학적으로는 숫자를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는 것과 비슷함. 위의 예시는 외부에서 오는 간섭. 그 외 간섭에는 더 ..

coding/CS 2022.09.16